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가장 우수한 소금을 함유한 식물 함초(변비,숙변,다이어트에 탁월한효능)
함초는 우리나라의 어떤 의학책에도 약초로서의 효능이 적혀 있지 않은 풀이다. 함초는 육상 식물이면서도 바닷물 속에 있는 모든 미네랄 성분이 고도로 농축되어 있다. 소금기 많은 흙일수록 잘 자라면서도 바닷물에 잠기면 죽는다. 흙 속에 스며든 바닷물을 한껏 빨아들여 광합성작용으로 물기는 증발시키고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갖가지 미네랄 성분만을 고스란히 남겨두는 생리를 지녔다.
함초는 가장 우수한 품질의 소금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 가치를 귀히 여길 만하다. 함초를 뜯어서 먹어 보면 맛이 몹시 짜다. 짜되 쓴맛이 나면서 짠 것이 아니라 단맛이 나면서 짜다. 짠 것을 먹으면 대개 목이 마르지만 함초는 아무리 많이 먹어도 갈증이 나지 않는다. 생명체에 이로운 물질만 농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함초에 들어 있는 소금은 다른 어떤 소금보다도 생명체에 유익한 소금이라 할 수 있겠다.
소금은 음식을 소화하고 노폐물을 배설하고 처리하는 작용, 곧 신진대사 작용을 주관하는 물질이다. 소금기는 세포를 썩지 않게 하고 뇌졸중과 뇌연화증을 예방하며 소화를 잘 되게 하고 조혈작용을 도와주며 노화를 막아 주는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작용을 한다. 요즘 짜게 먹는 것이 해롭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것은 화학염이나 정제염 같은 질이 나쁜 소금을 두고 하는 말이지 천일염 같은 질 좋은 소금을 두고 하는 말은 아니다.
소금은 모든 생물이 목숨을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물질이다. 그러나 소금을 주된 영양분으로 삼는 동식물은 없다. 짠 바닷물 속에서 일생을 보내는 물고기도 매우 적은 양의 소금을 몸 안에 지니고 있다. 그런데 한 가지 예외가 되는 식물이 있다. 함초는 지구상에서 거의 유일하게 소금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소금을 비롯하여 칼슘, 마그네슘, 철, 인 등 갖가지 미네랄과 효소를 흡수하면서 자라는 것이다.
좋은 소금을 올바르게 섭취하면 으뜸가는 약이 될 수 있다. 함초에 들어 있는 소금은 바닷물 속에 있는 독소를 걸러낸 소금이다. 함초 말고 소금기를 흡수하여 몸에 저장하는 식물은 달리 없다. 북아메리카 해안의 소금기 많은 습지에는 ‘스파르티나’ 라는 풀이 무성하게 자라는데 이 풀은 소금을 빨아 들였다가 잎과 줄기에 있는 특별한 기관을 통해서 내보낸다.
또 열대지방의 소금기 많은 개펄에서 자라는 망그로브나무는 소금기를 잎에 저장했다가 잎을 떨어뜨린다. 이들 식물에 들어 있는 소금기는 걸러지지 않은 그대로의 소금이지만 함초에 들어 있는 소금은 천일염 상태에서 생물체에 해로운 성분은 모두 걸러내고 이로운 성분만 남아 있는 소금이라고 할 수 있다.
함초의 섬유질은 장의 연동운동을 도와주고 소금기와 많은 미네랄은 인체에 꼭 필요한 영양소가 된다. 함초는 인체에 부족하기 쉬운 미량원소를 보충해 주면서 숙변과 변비, 비만증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 식품이다.
변비 고치는 천연 식물소금, 함초
변은 음식을 섭취하고 나서 12시간에서 72시간 뒤에 나오는데, 음식물의 종류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난다. 대개 배변 횟수가 일주일에 네 번 이하인 것을 변비라고 한다. 하루에 한 번씩 변을 보더라도 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딱딱하게 굳어서 나오거나 변 상태가 고르지 않는 것은 모두 변비라고 할 수 있다. 변비의 원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는 섬유질이 적은 식사와 영양 부족이다. 인스턴트식품과 가공식품을 많이 먹거나 섬유질이 적은 음식을 계속 먹으면 장이 충분한 운동을 하지 못하게 되어 변비가 생긴다. 또 다이어트로 음식을 너무 적게 먹으면 충분한 양의 변을 만들 수 없고 장이 무력해져 변비가 생긴다.
둘째는 물을 너무 적게 마실 때이다. 물은 몸속을 깨끗하게 씻어 주는 작용을 한다. 좋은 물을 충분히 마시면 변비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
셋째는 불규칙한 배변 습관이다. 변을 보고 싶은 것을 억지로 참거나 어릴 때부터 배변 습관을 지닌 사람들은 변비에 걸리기 쉽다.
넷째는 스트레스나 긴장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장벽이 긴장되어 수축되고 장이 운동을 할 수 없어서 변비가 생긴다.
다섯째는 여러 가지 만성 질병이다. 중풍· 파킨슨병과 같은 전신질병, 근육계통의 질병, 임신 중의 호르몬 불균형 등도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여섯째는 약물남용으로 인한 변비이다. 변비약을 지나치게 많이 먹어서 장신경이 손상을 입은 경우, 마약, 진통제, 수면제, 우울증 치료제, 칼슘이나 철분제, 고혈압 치료약 같은 온갖 약물로 인해 변비가 생길 수도 있다.
무료전화080-600-4222
함초환,가루,300g 30,000원 건초,1kg25,000원
함초효소,1500cc 50,000원
'아름답고 건강한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톱으로 확인하는 건강체크 (0) | 2011.09.16 |
---|---|
[스크랩] 숫자로 본 인체의 신비 (0) | 2011.09.03 |
[스크랩] 나븐 습관이 병을 부른다. (0) | 2011.08.10 |
[스크랩] 가장 쉬운 다이어트 "아침 2분 숨쉬기" (0) | 2011.08.04 |
[스크랩] 혈액형별 건강 다이어트 (0) | 2011.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