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아카데미

[스크랩] 강의2. 미디어변화/글쓰기노하우

아라모 2011. 4. 4. 22:00

 

디지털 글쓰기의 기본 및 디지털시대에 깨야하는 고정관념을

아래의 글쓰기의 의미, 목적, 21세기 글쓰기의 특성을 통해서 알아보도록 합니다~

<글쓰기가 무엇인가?>
* 글쓰기의 의미와 과정.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 : 인간의 기본적인 삶의 방식으로서 자신이 처한 환경과 문제를 인지하고 극복해 나가는 중요한 통로이다.
1. 의사 표현의 수단 : 경험의 사회적 교류 및 상호 검증.-> 사회적인 관계를 강화하고 유지.
2. 인식과 사고의 과정 : 경험의 구체화, 객관화를 통해 지식으로 축적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은 문제를 인지하고 생각을 체계화하여 정리하는 지식적인 기술. -> 학문적 의사 소통을 위해 필요.

 

<글쓰기의 목적>
1. 타인과의 소통.
-* 정보나 사상을 전달.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언어를 사용, 명확한 단어선택 문장의 맥락 중요하다.
*-정서적인 느낌을 표현.
-주관적 표현, 감각적 비유나 수사적 문체를 사용하게 된다.
2. 교양 있는 지식인으로서 삶을 완성.
-자신과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문제를 함께 인지하고 해결하기 위해 서로 의사소통을 하며, 삶에 대한 지혜를 서로 나누어 가짐으로써 삶을 완성해 갈 수 있다.

 

<21세기의 글쓰기>
1. 디지털 글쓰기의 특징과 문제.
- 말하기적 특성이 글쓰기 방식에 변형을 가져다줌 : 언어 규정 무시, 축약과 첨가, 비속어, 은어의 잡은 사용, 비통사적 문장, 문장의 비완결성, 이모티콘의 사용.

2. 글쓰기의 속도가 빨라짐.
-의식의 흐름을 포착하는 것이 수월하여 깊이 있는 사고보다는 감각적이고 즉물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글쓰기 양산, 문장의 완성도나 문맥적 연결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음.

3. 글의 편집과 자료의 복제, 변형이 용이해짐.
-글의 양, 자료의 나df이 심해지고, 타인의 읜견과 자신의 주장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일이 일어난다.

4. 대중지향성과 상호 소통력이 확대.
-자신의 글에 대해 실시간 글 읽는 이의 반응을 확인하고, 조회수로 나타나는 인기에 영향을 받게 되어 대중 지향적인 특정을 띠게 된다.
-가볍고 자극적이고 일시적인 사고나 표현이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글쓰기는 상업적, 정치적 전략과 타협되어. 독자 대중의 판단력을 마비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 [미디어 활용 글쓰기의 특성 ]
1. 자판으로 직접 화면에 입력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용 작성과 같은 과정이 생략되고 쓰기 전 단계가 축소된다.
2. 글을 쓰면서도 말을 한다고 느끼기 때문에 퇴고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한다. 오타나 비문을 거의 무시하고 속도감 있게 글을 써 나간다.
3. 화면을 상화 조우로 움직이며 글을 써야 하기 때문에 글 전체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다.
4. 구어 중심의 문체를 사용하고 짧으면서도 함축저긴 표현을 즐긴다.
5. 짧은 대화체, 아이콘, 그림, 도표 등을 활용해 드러냄으로써 오감을 활용한 의사소통을 한다.
6. 첨가, 삭제, 복사 등이 용이하기 때문에 텍스트의 가변성 및 개방성이 높다.
7. 댓글과 이어적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가의 결정성이 낮다.
8. 글 쓰는 이와 읽는 이의 경계가 허물어진다.

 

※ 참고 : 방송대 글쓰기 교재

 

<블로그 관련 용어>

 2-1. 트위터(http://www.twitter.com/)
트위터(Twitter)는 무료 소셜 네트워킹 겸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이다.
여기서 "트윗(tweet)"이란 말은 작은 새가 지저귀는 소리를 나타내는 영어 낱말이다.

 

2-2. 페이스북(http://www.facebook.com/)
페이스북(Facebook)은 2011년 2월 초 현재 6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활동 중인 전 세계 최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사람들이 친구들과 대화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004년 2월 4일에 당시 하버드 대학교의 학생이었던 마크 저커버그가 설립하였다.

 

2-3. 플리커(http://www.flickr.com/)

플리커(Flickr)는 2004년 2월부터 서비스하고 있는 온라인 사진 공유 커뮤니티 사이트이다. 웹 2.0의 대표적인 프로그램 중 하나로 거론되곤 한다.
이 서비스는 개인 사진을 교환하는 목적 이외에도 블로거들이 사진을 올려 저장하는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처음 이 서비스의 획기성은 자체 분류법적 방식을 이용하여 사진에 태그를 붙일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인한다.

 

2-4. 피카사(http://picasa.google.com/)
피카사(영어: Picasa)는 구글에서 배포하는 이미지 뷰어이다.

 

2-5 유튜브(http://youtube.com/)
유튜브(YouTube)는 무료 동영상 공유 사이트로, 사용자가 영상 클립을 업로드하거나, 보거나, 공유할 수 있다.
사이트 콘텐츠의 대부분은 영화와 텔레비전 클립, 뮤직 비디오이고 아마추어들이 만든 것도 있다.

 

2-6. 스마트패드 or 태블릿PC or 태블릿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는 자판이나 마우스가 아닌(자판이나 마우스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 스타일러스,
디지털 펜, 손가락을 주된 입력 장치로 사용하는 평평한 터치 스크린이 완전히 장착된 컴퓨터를 가리킨다.

 

2-7. 트랙백
엮인글과 같은 뜻의 단어

 

2-8. 의제설정
매스미디어에서 말하는 의제설정 기능은 미디어가 뉴스,
시사 프로그램을 통해 중요하다고 보도하는 주제(미디어 의제)가 대중에게 중요한 주제(공중의제)로 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2-9. 킬러 콘텐츠
미디어가 폭발적으로 보급되는 계기가 된 콘텐츠를 킬러 콘텐츠(killer contents)라고 한다.
예를 들어, 파이널 판타지 7(FF7)이라는 걸출한 콘텐츠가 플레이스테이션(PS)이 널리 보급되는 데에 큰 기여를 했다.

출처 : 꿈꾸는 PD 현호네
글쓴이 : 현호 원글보기
메모 :